* 파일 시스템 관리
1. 파일 시스템의 기능
파일의 생성, 수정, 제거 기능
파일 공유 기능
여러 종류의 접근 제어 기법 제공
파일간의 정보 전송 기능
복구 기능
심볼릭 링크 기능
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
2. 파일의 종류
유닉스 시스템은 확장자 개념 자체가 없음
1) 보통 파일(Ordinary File)
2) 디렉토리 파일(Directory File) = 윈도우의 폴더 개념
3) 특수 파일(Special File)
- 대부분 /dev 디렉토리에 존재
3.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
1) 루트 디렉토리 (/)
2) 부트 디렉토리 (/boot)
3)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(/etc)
4) 기본 실행 파일이 있는 바이너리 디렉토리 (/bin)
5) 디바이스 디렉토리 (/dev)
6)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 (/home)
등등
4. 허가권과 소유권
1) 형식
drwxr-xr-x 3 root root 4096 5월 23 11:17 test
파일 유형 / 파일 허가권(소유자/그룹/기타 사용자) / 링크 수 / 파일 소유자 이름 / 파일 소유 그룹 이름 / 파일 크기(byte) / 마지막 변경 날짜, 시간 / 파일 이름
2) 허가권
>> 파일의 접근 허가 권한 의미
- 읽기(read: r)
- 쓰기(write: w)
- 실행(execute: x)
- 디렉토리 파일과 일반 파일에서의 허가권은 다름
* <su>와 <su ->의 차이
>> su 뒤에 -을 붙이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
ex)
su - : 관리자 홈으로 이동(/root)
su - fedora : fedora 유저의 홈으로 이동(/home/fedora)
3) chmod : 권한 변경, 8진수 및 기호와 부호 이용
- 입력 리디렉션 (<) : 쓸 일 없음. 그렇지만 알아두자.
'스마트웹&콘텐츠 개발자 과정 > GNU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기초 (5/30 오전) (0) | 2018.05.30 |
---|---|
리눅스 기초 (0) | 2018.05.29 |
리눅스 기초 (5/28 월) (0) | 2018.05.28 |